맨위로가기

영주 부석사 조사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영주 부석사 조사당(榮州 浮石寺 祖師堂)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에 있는 고려시대 건축물입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건축 양식:


  • 정면 3칸, 측면 1칸의 작은 건물입니다.
  • 기둥 위에만 공포가 있는 주심포 양식입니다.
  • 지붕은 맞배지붕입니다.
  • 건물 자체가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세부 양식이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간결합니다.

내부:

  •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義湘大師)의 초상을 모시고 있습니다.
  • 원래 건물 안쪽 좌우에는 사천왕상, 보살상 등 고려 후기에 그려진 벽화가 있었으나, 지금은 부석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원래 벽화가 있던 자리에는 본떠 그린 그림을 놓아 당시 벽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사:

  • 고려 우왕 3년(1377)에 건립되었습니다.
  • 조선 성종 21년(1490)과 성종 24년(1493)에 다시 고쳤습니다.
  • 일제강점기인 1916~1918년 조사당 수리 공사 과정에서 벽화가 철거되었습니다.

전설:

  • 조사당 앞 동쪽 처마 아래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는 의상대사가 꽂은 지팡이가 자란 것이라는 전설이 있습니다. (선비화)
  • 의상대사를 흠모한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의상대사를 보호하고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는 설화가 있습니다.

조사당 벽화:

  • 현재 국보 제4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석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고려시대 회화 가운데 매우 희귀한 작품으로, 고분벽화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채색 그림 중 하나입니다.
  • 2020년부터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벽화를 복원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가상현실(VR)로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영주 부석사 조사당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주 부석사 조사당 측면
이름영주 부석사 조사당
로마자 표기Yeongju Buseoksa Josadang
영어 이름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Yeongju
유형국보
지정 번호19
지정일1962년 12월 20일
주소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소유자부석사
시대고려
문화재청 ID11,00190000,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